소용량 STS를 이용한 방법
소용량 STS란? |
 |
- - 이중화된 전원에 단일 전원장치 시스템 사용 시,이중화 전원장치시스템과 동일한 안정성을 확보해 주는 무정전 전원 절환 장치
- - IDC 컴퓨터시스템, 주요 산업설비 등의 이중화 전원에 대한 정전 대책으로 사용
|
소용량 STS의 주요 기능 |
 |
- - 사용 전원라인의 정전 시 대기라인으로 무정전 자동절체
- - 사용 전원라인의 저전압 시 대기라인으로 무정전 자동절체
- - 라인보수, Load Balance를 위해 대기라인으로 무정전 인위적 절체
- - 자동/수동 무순단 절체 기능
|
STS 구성 예 |
 |
- - 서로 다른 두 UPS로 부터의 전원을 사용하여 유사 시 무순단 자동 절체
- - UPS-UPS, UPS-상용전원, 상용전원-상용전원, 상용전원-발전기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가능
|
소용량 STS를 이용한 Redundant 화 |
- - 부하기기가 Single power 구조인 경우에 선택
- - Single power 기기들을 비교적 간단하게 Redundant 화 가능
- - 소용량 STS (Source Transfer Switch)를 사용함. 220V 30A의 용량으로 통상 Rack 단위로 분산 설치함
- - 기존 UPS와 신규 UPS 는 완전히 개별로 운전되며 따라서 UPS 종류에 따른 제약조건이 없음
- - 2대의 UPS가 축전지를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지는 부하 기기와 무관하게 UPS들 간의 조건에 따라 정해짐 (축전지 개별 사용이 신뢰성은 향상됨)
- - 2중화 전원으로 UPS-UPS, UPS-상용전원, 상용전원-상용전원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가능 함
|
BBM 절체 (Break-Before-Make Transfer) |
 |
- - 1개의 Double Throw Switch 구조
- - A에서 B로 절체 시 반드시 중립상태를 거치므로 절체 도중 아주 적은 끊김(순단)이 발생하며 순단시간은 스위치의 종류 및, 구조에 따라 달라짐
- - 순단 시간이 20mSec 이내이면 컴퓨터 등 부하기기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음
- - 두 전원 간을 Over-Wrap 시키지 않음으로 2 전원간의 동기가 맞을 필요가 없으며 비동기 절체가 가능
|
MBB 절체 (Make-Before-Break Transfer) |
 |
- - 2개의 Single Throw 스위치 구조
- - A에서 B로 절체시 A가 OPEN되기 전에 B를 먼저 CLOSE 시킴으로서 절체 도중 중립상태를 거치지 않는 절체가 가능
- - 이러한 끊김이 없는 무순단 절체를 MBB 절체라 함
- - MBB 절체를 위해서는 절체시 2 전원간의 Over-wrap이 필요
- - 두 전원 간을 Over-Wrap 시키기 위해서는 두 전원 간의 동기가 맞아야 함
|
대용량 STS (Static Transfer Switch)에 의한 방법
대용량 STS란? |
 |
- - STS (Static Transfer Switch): 고속 릴레이로 이루어진 무순단 절체 스위치
- - 이중화된 전원을 이용하여 부하장치에 대해 전원 안정성을 확보해 주는 무순단 전원 절체장치로서 IDC 컴퓨터시스템, 주요 산업설비 등의 이중화 전원에 대한 대책으로 사용
|
STS의 주요기능 |
 |
- - 상용 전원라인(주 UPS)의 정전 시 대기라인(보조 UPS)으로 자동 절체
- - 상용 전원라인(주 UPS)의 전원 이상 시 4mSec 이내에 대기라인 (보조 UPS)으로 자동 절체
|